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
    송희창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

    서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을 버는 데 집중합니다.

    하지만 돈을 벌어도 통장이 텅 비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자신이 어디에 얼마나 쓰고, 어떤 자산을 갖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는 그 답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책입니다.

    저자 송희창은 재무 설계와 투자 교육 분야에서 실전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입니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돈이 없어서 가난한 것이 아니라, 숫자를 몰라서 가난하다”는 본질적인 통찰을 독자에게 전합니다.

    특히 이 책은 월급을 받고 있는 사회초년생이나 30대를 위한 재무 진단 도구로서의 재무제표를 강조하며, 숫자로 나를 파악하고 통제하는 능력이 경제적 자유의 출발점임을 설득력 있게 전개합니다.

    본론

    ① 숫자로 나를 파악하라: 당신의 ‘현금 흐름’은 건강한가?

    책은 우리가 보통 무시하고 지나치는 현금 흐름표와 자산·부채표의 중요성을 처음부터 강조합니다. “당신은 얼마를 벌고 얼마를 쓰며, 무엇을 갖고 얼마를 빚지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은 단순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명확하게 대답하지 못합니다.

    저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 재무제표’를 만들 것을 제안합니다. 수입과 지출을 분류하고, 자산과 부채를 구조화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는 처음으로 ‘숫자로 본 자신의 경제 상태’를 체감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기록이 아닙니다. 자신의 소비 습관과 경제 구조의 왜곡을 직면하는 계기가 되며, 이후 투자나 저축, 소비 전략까지 현실적인 방향성을 제공하게 됩니다.

    ② 경제적 자유는 습관과 구조에서 나온다

    이 책이 다른 재테크 서적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습관’과 ‘시스템’의 중요성을 반복적으로 강조한다는 점입니다. 돈이 모이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은, 높은 소비 성향보다도 체계 없는 돈 관리 습관에 있다고 진단합니다.

    예를 들어, 수입이 늘면 소비도 같이 늘어나는 ‘라이프스타일 인플레이션’을 경계해야 하며, 일정 비율로 자산을 배분하고 고정 지출을 줄이는 등 매달 반복 가능한 관리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또한, 금융 문맹에서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공부도 강조합니다. 복리의 힘, 세금 구조, 신용 점수, 금융 상품의 기본 개념을 모르면 어떤 습관도 오래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입장입니다.

    ③ 재무제표 기반의 의사결정: 당신만의 기준을 만들어라

    책의 후반부에서는 숫자 기반의 사고가 어떻게 삶의 의사결정까지 연결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집을 살지 전세로 살지, 차를 뽑을지 대중교통을 이용할지, 월세를 줄이고 적금을 늘릴지 등등의 결정이 감정이 아닌 재무제표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저자는 ‘경제적 자유’라는 개념을 단순히 부자의 기준이 아닌, “일하지 않아도 최소한의 삶이 유지되는 구조”로 정의하며, 이 구조를 재무제표를 통해 구체화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자연스럽게 ‘내 수입에서 얼마가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는가?’, ‘부채는 줄고 있는가?’, ‘소비 중 낭비되는 항목은 무엇인가?’를 스스로 묻게 됩니다. 이 질문들이 바로 돈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첫걸음입니다.

    결론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는
    단순한 돈 관리 노하우가 아니라,
    경제적 자립을 위한 마인드셋과 구조를 설계하는 책입니다.

    기억해야 할 메시지는 분명합니다.
    “돈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관리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의 숫자를 직면하고, 체계화하고, 개선하는 것.
    그것이 진짜 재테크의 시작임을 이 책은 분명히 알려줍니다.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
    30살 당신의 재무제표를 가져오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