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부자는 습관으로 만들어지고, 가난도 습관으로 유지된다.”
“저는 평범하게 살고 싶었을 뿐인데,
왜 이렇게 평범하게도 살기 힘들까요?”
《하마터면 부자가 될 뻔했다》는
돈을 벌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생각 습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저자 이천은 심리학과 경제학을 넘나들며
‘왜 사람들은 돈 앞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하지 못하는가’를
7가지 대표적 사고 오류로 풀어냅니다.
이 책은 단순한 동기부여서가 아니라
자기 점검을 통해 부를 가로막는 사고 구조를 해체하는 심리적 재테크 도구입니다.
본론
1. “나는 돈에 관심 없어” – 무관심의 착각
저자는 말합니다:
“돈에 관심 없는 사람은 없다.
다만, 관심 있는 척하는 것이 불편할 뿐이다.”
많은 사람들은
‘돈에 너무 집착하면 없어 보인다’, ‘돈 얘기 꺼내면 속물 같다’는 이유로
의식적으로 무관심한 척 행동합니다.
하지만 그건 현실을 피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일 뿐이며,
무관심은 결국 무능함으로 이어집니다.
책은 이를 깨기 위한 연습으로
“돈에 관심을 표현하는 훈련”을 권합니다.
가령, 스스로에게 매일 이렇게 묻는 것입니다:
- 오늘 돈을 아낄 수 있었던 지점은?
- 지금 소비는 나의 가치와 부합하는가?
- 이 자산이 나를 위한가, 타인을 위한가?
2. “그건 나랑 상관없어” – 책임 회피의 프레임
책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주제는
‘자신의 삶을 외부 탓으로 돌리는 구조’입니다.
- 집값이 오르면 운이 없었다고 말한다
- 주식이 오르면 ‘남들은 잘하네’라며 스스로를 비교한다
- 세금이 늘면 사회가 잘못됐다고만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현실을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을 강화시키고,
결국 스스로 ‘무기력한 소비자’로 남게 만듭니다.
책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모든 행동은 선택이다.
선택을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순간,
당신은 부에서 가장 멀어진다.”
3. “돈이 있으면 행복할 거야” – 결과 중심 사고의 오류
저자는 ‘돈 = 행복’이라는 공식이
얼마나 큰 오해인지 통계와 심리 실험을 통해 보여줍니다.
돈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돈을 어떤 방식으로 벌고, 어떻게 쓰느냐가
행복의 질을 결정짓는다는 것입니다.
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합니다:
- 불안에서 비롯된 소비는 행복을 줄 수 없다
- 타인의 인정을 위한 지출은 자존감을 깎아먹는다
- ‘희소한 경험’을 위한 소비는 감정적 복리로 작용한다
이 기준을 바탕으로
자신의 소비 패턴을 재점검할 수 있도록
‘소비 일기’와 ‘행복 감정 로그’를 함께 기록하라고 조언합니다.
결론
《하마터면 부자가 될 뻔했다》는
“지금 당장 돈을 벌 수 있는 법”보다는
“앞으로도 돈을 못 버는 사고방식”을 고치기 위한 책입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 자산은 늘지 않는데 이유를 모르겠는 분
- 반복적으로 돈을 벌고 잃는 악순환을 경험하는 분
- 소비 후 늘 후회하거나 공허함을 느끼는 분
- 감정적 소비와 비교 심리에 지친 분
부자가 되는 길은 지름길이 아니라,
‘잘못 든 생각의 습관’을 하나씩 걷어내는 과정일지 모릅니다.
그 길의 첫 출발선에서,
이 책은 당신의 ‘돈에 대한 태도’를 다시 설계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 아빠의 투자 가이드> – 실천하는 투자자의 10가지 원칙 (4) | 2025.07.20 |
---|---|
<돈의 감각> – 숫자 너머 본질을 꿰뚫는 힘 (3) | 2025.07.19 |
<왜 부자들은 장지갑을 쓸까> – 습관의 재정의 (4) | 2025.07.18 |
<부의 인문학> –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3) | 2025.07.17 |
<사경인 회계사의 돈 공부> – 회계가 쉬워지는 순간 부자가 보이기 시작했다 (3) | 202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