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저소득·중산층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만든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5년 동안 자유롭게 적립하며, 매달 납입한 금액에 대해 정부가 ‘기여금’을 추가 지원합니다.
- 가입대상: 만 19~34세 청년
- 가입조건: 연소득 4,8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 가입기간: 5년
- 납입금액: 월 10만~70만 원 (자유롭게 선택 가능)
- 혜택: 기여금 + 이자소득 비과세 + 일부 해지 유연성
🔄 2025년 달라진 점 핵심 요약
항 목 | 2024년 기준 | 2025년 변경 내용 |
기여금 최대액 | 월 36,000원 | 월 50,000원 이상 가능 |
소득구간 세분화 | 3구간 | 5구간으로 세분화됨 |
중도해지 시 불이익 | 60개월 유지 필수 | 3년 이상 유지 시 일부 혜택 유지 |
부분 인출 | 불가 | 2년 이상 유지 시 일부 인출 가능 |
실질 수익률 | 약 6.5% | 최대 연 9%대 기대 |
🗓️ 2025년 7월 신청 일정 정리
일정 구분 | 기 간 |
신청 기간 | 7월 1일 ~ 7월 11일 |
자격 심사일 | 7월 14일 ~ 7월 15일 |
계좌 개설 (1인 가구) | 7월 17일 ~ 8월 8일 |
계좌 개설 (기타 대상) | 7월 28일 ~ 8월 8일 |
비과세소득자 신청 마감 | 7월 9일(화)까지 별도 신청 필요 |
🏦 신청 가능한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 iM뱅크 등 총 11개 은행 앱에서 비대면 신청 가능
💸 소득별 정부 기여금 구조 (2025년 기준)
2025년부터는 5단계 소득 구간별로 기여금 차등 지급됩니다.
연소득 구간 | 월 납입금 기준 기여금 (예: 60만원 납입시) |
2,400만 원 이하 | 약 30,000원 이상 |
2,400만 ~ 3,600만 원 | 월 29,000원 |
3,600만 ~ 4,800만 원 | 월 25,000원 |
육아휴직·군 복무 중 소득자 | 비과세소득 기준 산정 → 신청서 제출 필수 |
✅ 최대 월 50,000원까지 정부 지원 가능 (소득·납입금 따라 다름)
✅ 소득 낮을수록 기여금 비율 높아지는 구조
📈 5년간 예상 수령액 시뮬레이션
연 4% 이자 + 정부 기여금 포함 기준 (소득 2,400만 원 이하 청년 기준)
월 납입금 | 5년 총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예상 이자 | 수령 총액 (예상) |
20만 원 | 1,200만 원 | 약 180만 원 | 약 130만 원 | 약 1,510만 원 |
30만 원 | 1,800만 원 | 약 270만 원 | 약 200만 원 | 약 2,270만 원 |
50만 원 | 3,000만 원 | 약 400만 원 | 약 350만 원 | 약 3,750만 원 |
70만 원 | 4,200만 원 | 약 500만 원 | 약 500만 원 | 약 5,200만 원 |
※ 실제 수익은 이자율·기여금 수급 여부·유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중도해지도 걱정 NO! (2025년 개편 핵심)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의 중도해지 요건이 크게 완화되었습니다.
유지 기간 | 정부기여금 수령 가능 비율 | 비과세 혜택 여부 |
5년 이상 유지 | 100% | ✅ 유지 |
3년 이상 유지 | 60% 수령 가능 | ✅ 유지 |
2년 이상 유지 | 부분 인출 가능 | ✅ 유지 |
🧠 갑작스러운 자금 수요가 생기더라도 2년 이상 유지 시 부분 인출 가능!
더 이상 ‘묶여 있는 돈’이 아닌, 유연한 청년 자산 형성 계좌로 진화했습니다.
📲 신청 방법과 절차
1. 신청 전 확인사항
- 연소득 및 가구소득 요건 충족 여부
- 주민등록상 주소지 및 가구 구성 확인
- 국세청 소득자료 연계 가능 여부 확인
2. 신청 방법
- 은행 앱 접속 → 청년도약계좌 메뉴 선택 → 본인 인증 → 신청서 작성
- 신청 후 정부 자격 심사 진행
- 최종 승인 후, 지정일에 계좌 개설
3. 준비서류 (해당자만)
- 육아휴직자, 군 장병: 비과세소득 증빙자료
- 전역 예정자: 전역예정증명서
- 소득 없는 배우자: 가족관계증명서 등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전에 탈퇴했는데 다시 가입할 수 있나요?
➡️ 가능하나, 이전 가입기간을 제외한 기간만 기여금 지급 대상입니다.
Q2. 월 납입금은 바꿀 수 있나요?
➡️ 예, 자유롭게 증액·감액 가능합니다. 단, 월 10만~70만 원 범위 내에서만.
Q3. 신청만 하면 바로 계좌 개설되나요?
➡️ 아닙니다. 정부 자격 심사 후 승인되어야 계좌 개설 가능.
Q4. 비과세 대상자인데 따로 뭐 해야 하나요?
➡️ 7월 9일(화)까지 별도 서류 제출 필수! 제출하지 않으면 기여금 대상 제외됩니다.
🧾 마무리 요약
항 목 | 내 용 |
신청 기간 | 2025년 7월 1일 ~ 7월 11일 |
계좌 개설 | 7월 17일~ (가구별 일정 상이) |
월 납입금 | 10만 원 ~ 70만 원 (자유납입 가능) |
기여금 최대액 | 월 5만 원 이상 |
실질 수익률 | 최대 연 9% 이상 |
중도해지 혜택 | 3년 이상 유지 시 60% 이상 혜택 보장 |
신청 은행 |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외 11개 은행 앱 |
📣 마무리 한마디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닙니다.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개념으로,
월 수만 원의 기여금 + 세제 혜택 + 고금리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해지 요건 완화 + 기여금 확대로 청년들에게 훨씬 유리하게 개편됐으니,
가입 요건이 된다면 이번 7월 신청기간을 절대 놓치지 마세요!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법 개정 의미와 수혜주 TOP3 (2) | 2025.07.03 |
---|---|
2025 건보료 줄이는 꿀팁! (3) | 2025.07.02 |
2025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신청기간 및 방법 (3)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