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돈 공부는 처음이라>
김경필 지음 | 어크로스
서론
우리는 대부분 돈에 대해 공부하지 않고 어른이 됩니다.
직장을 다니며 월급을 받지만,
그 돈을 어떻게 써야 하고, 어떻게 불려야 하며,
언제부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
《돈 공부는 처음이라》는 바로 그런 사람들을 위한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 김경필은 ‘돈을 공부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인생은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수많은 재무상담 사례를 통해 절감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이 책은 경제·금융에 대한 기초 교양서이자,
현실적인 돈 관리법을 친절하게 안내해 주는 재테크 입문서입니다.
지금까지 돈이 늘 부족하다고 느꼈던 사람,
계획 없이 지출을 반복해온 사람이라면 꼭 한 번은 읽어야 할 책입니다.
본론
① 당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라: 돈 공부의 첫걸음
책의 도입부는 우리가 돈을 다루는 ‘태도’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를 이야기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자산 상태를 정확히 모르며 살아갑니다.
저자는 “자산과 부채를 구분하지 못한 채 월급만 바라보는 삶은
마치 나침반 없이 항해하는 것과 같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비슷한 소득을 가진 두 사람이
전혀 다른 경제적 결과를 가지게 된 이유를 설명합니다.
핵심은 단순히 더 버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재무 상태를 진단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자산 증식의 기반이 마련됩니다.
② 금융 문맹을 벗어나기 위한 기본 개념 정리
이 책의 강점은 어려운 용어 없이도 금융의 본질을 이해시킨다는 점입니다.
복리, ETF, IRP, 연금, 보험, 신용등급 등
우리가 언론이나 유튜브에서 자주 듣지만 실제로는 잘 모르는 개념들을
사례 중심으로 풀어줍니다.
특히 ‘부자처럼 보이기 위해 무리한 지출을 반복하는’
젊은 직장인의 심리를 날카롭게 짚어내며,
그런 소비가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합니다.
저자는 조언합니다.
“돈을 모으기 위한 첫 걸음은 저축이 아니라,
내가 왜 돈을 모으는지 이유를 명확히 아는 것입니다.”
즉, 재무 목표 설정과 자산 구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단기적인 유혹을 이겨낼 수 있고,
목표에 맞는 금융상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돈의 흐름을 이해하면 인생이 다르게 보인다
책의 후반부에서는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재정 전략이 제시됩니다.
20대, 30대, 40대, 50대의 재정 과제를 현실적으로 짚어주며,
어떤 시기에 어떤 자산을 만들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특히 인상적인 대목은
“지금 내 인생을 가장 많이 바꾸는 것은,
금리도, 주식시장도, 부동산도 아닌
내 소비 패턴과 돈을 바라보는 관점이다”라는 메시지입니다.
이 책은 독자가 단순히 돈을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서,
돈과 삶의 균형을 다시 설계하는 과정을 안내합니다.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비로소 ‘돈에 끌려 다니는 삶’이 아닌,
‘돈을 조율하는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결론
《돈 공부는 처음이라》는
돈에 대한 지식이 없다고 자책하던 독자에게
가장 친절하고 현실적인 시작점이 되어주는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다음과 같은 인식을 얻게 됩니다
- 돈은 모으는 대상이 아니라, 목적 있는 도구다
- 돈을 다루는 감각은 배울 수 있으며, 평생을 바꾼다
- 재테크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공부다
재테크는 큰돈이 있어야 시작하는 것이 아닙니다.
《돈 공부는 처음이라》는 작은 인식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얼마나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는지를 실감하게 해주는 책입니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속성> – 부를 끌어당기는 마인드셋의 힘 (13) | 2025.08.05 |
---|---|
<사경을 헤매다 깨달은 돈의 감각> – 돈을 대하는 태도가 삶을 바꾼다 (15) | 2025.08.03 |
<돈의 심리학> – 부자가 되는 게 아니라 부자로 살기 위한 사고법 (14) | 2025.08.02 |
<이것은 투자 이야기가 아닙니다> – 인생을 바꾼 돈과 관찰의 기록 (13) | 2025.08.01 |
<나는 돈이 없어도 경매를 시작했다> – 현실적인 시작을 위한 부동산 입문서 (21) | 2025.07.31 |